미중전쟁 벌어지면 미국은 천조국을 넘어 만조국으로 | 2차세계대전을 결정지은 경제력 -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넓은 시야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2차 세계대전의 기억을 소환해봅니다 먼저 1931년부터 1945년까지 주요 연합국과 동맹국의 경제 규모를 비교해 봅니다 1939년을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해로 보고 있지만 그 이전부터 전쟁 준비는 착착 이뤄졌습니다.이 점을 고려해 1931년부터 계산했습니다. 그리고 러시아를 변수로 두고 연합국과 동맹국으로 나눠 편입해 보았습니다. 러시아를 조연정도로 생각하고 있지만 사실상 러시아는 연합국 진영에서 2차 세계대전을 도맡아 한 나라입니다 엄밀히 말해 유럽에서 전쟁한 나라는 독일과 러시아였고 그 외는 전투를 했을 따름입니다 2차 세계대전 승패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아니라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결판이났습니다.
1944년에는 2.7배 1945년에는 3.9배까지 늘어났습니다. 쉽게 말해서 동맹국이 항복한 해인 1945년 동맹국의 경제력은 연합국의 26%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한편 러시아를 연합국에 포함하면 전 기간에 걸쳐 동맹국의 경제력이 연합국의 절반을 넘긴 날은 한 해도 없었습니다. 동맹국의 경제력이 최고의 달했던 때조차도 45%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만약 러시아가 동맹국편에 섰다면 결과는 어떻게 도출됐을까요 1942년 이전까지는 두 진영의 경제력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았습니다 대개 1.2배 전후였고 1939년에는 1.1배까지 좁혀졌습니다. 러시아가 동맹국편에 섰더라면 미국이 총력전을 펼쳤어도 연합국이 승리할 가능성은 크지 않았습니다. 그럼 1931년부터 1945년까지 주요 계곡 군사비를 알아보겠습니다. 1935년부터 1942년까지는 독일이 독보적이었습니다.
일례로 1940년 독일의 군사비는 영국 프랑스 러시아 모두를 합한 것에 필적했고 1941년과 1942년에는 각각 1.5배와 1.7배 정도 많았습니다. 참고로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하네 일본의 군사비는 중국의 2.3배였고 그 다음에는 16배 이상으로 늘어났으며 진주만 공습지매는 70배 이상 격차가 벌어졌습니다. 하지만 1943년 들어 상황이 역전되었습니다
미국이 전시체제로 들어서자 독일 일본 이탈리아 군사비를 모두 합친 것보다 미국의 군사비가 더 많았습니다. 앞서 1차 대전에서도 그랬듯이 미국은 전쟁 준비를 위해 군사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나라가 아닙니다 평시에는 기존 수준을 유지하다 전쟁이 본격화하고 참전이 결정되면 짧은 기간에 재원을 대거 동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게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런 경제적 행동의 밑바탕에는 막강한 전쟁 수행 능력이 존재합니다.
독일이 10년간 절지부심한 끝에 축적한 힘을 미국은 한순간에 얻었습니다. 경제적 관점에서 현 미국의 국방비는 유지관리 비용에 불과합니다. 기존 군사력은 세계 경찰 역할을 담당할 수준이지 강대국과의 전쟁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흔히 미국을 천조국이라고 부르지만 중국과 전쟁이 터지면 만조국이라고 불려야 할 것입니다 참고로 구매료 평가 기준으로 중국의 gdp가 미국의 절반을 넘긴 해는 2005년이고 70%를 넘긴 해는 2009년입니다 그리고 2016년부터 미국을 넘어섰으며 2022년에는 미국보다 약 1.2배 큽니다 그러나 실질 gdp로 보면 중국은 여전히 미국보다 작습니다 실질 GDP 기준으로 중국이 미국의 절반을 넘긴 애는 2012년입니다 2021년 76. 4%까지 좁혔지만 그 다음에는 코로나 봉쇄 등으로 70.5%로 떨어졌습니다
신냉전의 기온이 어느 때보다 강렬한 지금, 중국과 러시아의 실질 GDP 합계는 미국과 유럽의 51.1%이며 구매력 평가 기준으로는 71.6%입니다. 2차 세계대전 때보다 경제력 차이가 훨씬 작습니다. 쫓기는 미국은 지금 중국을 제압하지 않으면 이후 기회가 없다는 초조감에 전쟁을 일으키고 쫓는 중국은 지금이 미국을 타격할 절호의 기회라는 근거 없는 믿음에 빠져 전쟁에 뛰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정서와 2차대전 당시 국민들의 정서가 다 다르긴 합니다. 그때는 젊은이들이 서로 참전하려고 앞 다투어 지원했지만 현재 같은 글로벌 시대에 전쟁이 발발하면 자유의 개인의 의사를 중시하는 현재 젊은이들은 그러지 않을 것입니다. 세계가 연결되어 있고, 적국의 군인들은 친구의 친구일 수 있고, 그저 친구일 수도 있기 때문이죠. 이게 변수입니다.
우크라, 종이드론으로 러시아 전투기 격파 (1) | 2023.08.31 |
---|---|
우크라이나 개발 신개념 육상드론, 러시아군에 대한 반격에 쓰인다 (0) | 2023.08.31 |
미국 나사(NASA)의 x-59 미친 기술력 조용한 초음속 제트기 (2) | 2023.08.30 |
한국 공군 연이은 F-5 전투기 추락에도 왜 계속 운용할까? (0) | 2023.08.30 |
러우전쟁, 결국은 돈 문제다, 재건사업에 비용이 얼마나 들어갈까? (3)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