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을 기점으로 북괴의 대남 오물풍선 도발이 갈수록 심화하는 가운데 북한당국은 외화벌이를 위해서 3년 가까이 벌어진 러우전쟁터의 러시아에 포탄과 미사일 등을 수출하고 무려 1만의 용병을 파견하였습니다.
북한군은 장병 1인당 약 한화 200만 원의 보수를 받으며 짭짤한 수익을 올리게 됐는데요. 물론 장병들 개인의 수 중에는 쥐꼬리만큼 쥐어지게 되겠죠.
이런 와중에 러시아의 영향력이 줄어든 시리아 내전에서 시리아 반군이 다시 알아사드 정권통치하의 정부군에 큰 공세 가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세계의 정세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리면서 3차 대전이 일어나는게 아닌가는 불안함을 가지신 분들이 많이 있으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분단 상태가 현재 얼마나 안정된 상태인지 한번 역사적인 팩트 체크로 검증을 해 보았습니다.
한민족이 지난 2000년 동안 치른 전쟁의 빈도수를 평균적으로 계산하려면, 주어진 기간 동안 있었던 주요 전쟁의 횟수를 확인하고 이를 2000년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정확한 수치를 제공하려면 한반도 역사에 대한 구체적인 전쟁 목록이 필요하지만, 일반적인 역사적 맥락을 기반으로 대략적인 추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전쟁 예시
1. 고대 삼국시대(기원전 1세기 ~ 7세기)
고구려, 백제, 신라 사이의 전쟁
고구려와 중국(수, 당)의 전쟁
2. 통일신라와 발해 시대
해적 방어 및 지방 세력과의 충돌
3. 고려 시대(918~1392년)
거란, 여진, 몽골과의 전쟁
4. 조선 시대(1392~1897년)
임진왜란(1592~1598)
병자호란(1636~1637)
5. 근현대사(19세기 말 ~ 20세기)
동학농민운동(1894)
한일병합 전후 독립운동
한국전쟁(1950~1953)
전쟁 빈도 추정
대략적으로 2000년 동안 크고 작은 전쟁을 약 200회 정도로 계산한다고 가정할 때:
즉, 한반도에서는 평균적으로 10년에 한 번꼴로 전쟁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규모 분쟁과 대규모 전쟁을 모두 포함할 경우,
이 빈도는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한반도는 남북으로 갈라짐으로써 서로 다른 다양성을 갖게 되었지만 서로 민간차원에서부터 곧 교류를 시작한다면 다시 통일의 가능성이 높아질 거라 믿습니다.
남북한이 자유 민주주의 기반 통일을 한다면 우리나라가 북한 내 열악한 인프라를 개발하면서 얻는 효과는 막대할 것, 여기에 중국 동북 3성 1억3000만명의 경제권을 공유하는 엄청난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국회예산정책처의 보고서에 따르면 통일에 따른 경제적 부담은 2020년부터 2060년까지 매년 103조원씩 총 약 4000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통일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는 같은기간 연평균 321조원씩 총 1경4451조원에 이른다
구독 및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대한민국 icbm의 미래인 현무-5와 미래 미사일 개발현황 한계 (5) | 2024.12.24 |
---|---|
북한의 핵무기 제조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0) | 2024.12.23 |
SpaceX의 스타링크는 어떻게 인류에 기여할까? (3) | 2024.11.30 |
대한민국은 잠재적 핵보유국인가? (3) | 2024.11.01 |
국산 종이 군사 드론 개발 성공 (0) | 202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