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성 높은 인류 멸망 시나리오 중 한 가지가 경제 대공황입니다. 현재 중국은 경제 대공황으로 사상 최악의 실업률을 겪고 있어요. 실제로 미국에서 실업률이 1% 올라가면 수만명의 자살자가 속출한다는 데이터도 있지요. 그만큼 경제는 우리 생활에서 가장 먼저 체감되는 요소입니다.
청년 실업 위기: 중국에서는 당국통계상 청년 5명 중 1명이 실업자이며, 이로 인해 18.8%의 사상 최고 청년 실업률을 기록했습니다. 실제로는 청년 5명중 2명이상이 실업자라고 보입니다.
통계 조정: 중국 당국은 청년 실업 통계를 관리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실업률이 여전히 높지만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데이터 풀에서 제외했습니다.
상해 북경 심천등의 대도시에서는 실업한 젊은이들이 지하도로나 다리 밑에서 텐트를 치고 자기도 합니다.
사회적 우려: 젊은 졸업생들의 높은 실업률은 비싼 대학 교육비를 지불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업 상태에 빠지면서 졸업생들이 환멸을 느끼는 등 심각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탕핑족들이 그 예가 되겠죠.
중국 석박사 학위 소유자들은 졸업후 바로 백수가 될거라고 자조적으로 얘기합니다. 외국에서 유학을 하고 온 고학력자들도 취업이 어려운 건 마찬가지입니다. 중국에서는 이 때문에 국가 공무원 시험 응시률이 엄청 높아졌습니다. 민영기업에 취업을 못한 젊은이들이 국가고시에 몰리고 있는 거죠.
압박을 받고 있는 노점상: 당국이 최근 대학 졸업생을 포함한 젊은 노점상을 강제로 퇴출하면서 가혹한 단속 방식에 대한 팽팽한 대립과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자리의 질 문제: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을 때도 많은 일자리가 질이 낮은 일자리입니다. 예를 들어, 중국 최대 배달 플랫폼 중 하나에서는 배달 기사가 20% 증가했으며 현재 약 1,000만 명이 이러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교육 연장: 제한된 취업 기회에 대응하여 많은 젊은이들이 학업을 연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학원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습니다.
대학 격차: 중국과학원대학교의 대학원생 수는 학부생보다 30배 이상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연장 교육에 대한 증가 추세를 보여줍니다.
굶주림에 음식물을 찾기위해서 쓰레기통을 뒤지는 젊은 이들도 보입니다.
동아시아 주요 영토분쟁지역 (0) | 2025.02.27 |
---|---|
비행기 추락 사고가 염려된다면? 비행기 추락에서 살아남기 (1) | 2024.12.31 |
일본 근해에서 일어난 7.8지진으로 지진해일이 부산을 덮친다면 (6) | 2024.11.02 |
태평양 전쟁시 조선인 원자폭탄 피해자 수는 몇 명일까?? (4) | 2024.10.20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지진 기록 얼마나 많을까? (2) | 2024.10.18 |